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85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이 문제의 핵심은 현재의 번호를 대진하는 track으로 어떻게 변환하고 그것을 활용하는가 입니다.
저는 이 문제를 dfs를 통해 접근하였습니다.
1. n = 8 , A = 4, B = 7
초기 상태입니다 위의 동그라미를 track으로 칭하겠습니다.
track = > 다음 단계의 대전구도
그럼 이 구도를 재귀적으로 반복(DFS)하면 되지않을까? 생각하였습니다.
def solution(n,a,b):
# dfs?
def dfs(a,b):
# 짝수일때와 홀수일때의 track이 다르다.
print(a,b)
if a % 2 == 0:
a_track = a/2
else:
a_track = (a+1) / 2
if b % 2 == 0 :
b_track = b / 2
else:
b_track = (b + 1) / 2
if a_track == b_track:
return 1
else:
return 1 + dfs(a_track, b_track)
cnt = dfs(a,b)
return cnt
짝수일때와 홀수일때의 track의 구도가 다릅니다.
그리고 a_track과 b_track이 서로 만나는 stage를 return 해주었습니다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 LV2] 더 맵게 - 파이썬 (0) | 2023.12.20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 LV2] 전화번호 목록 - 파이썬 (0) | 2023.12.20 |
백준-1158 (파이썬) (0) | 2023.10.02 |
백준-10866 (1) | 2023.10.02 |
이진 탐색 - 구현 (0) | 2023.09.25 |